옝옹
냠
옝옹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84)
    • [LG유플러스]유레카 SW (5)
    • React (20)
    • JS (17)
    • TypeScript (5)
    • CSS & HTML (1)
    • 알고리즘 (11)
    • JAVA (20)
    • GIT (1)
    • 자격증 (4)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do-while문
  • match()
  • break문
  • ==
  • fillter
  • TypeScript
  • 화살표함수
  • 리액트를다루는기술
  • sort() 메서드
  • 타입스크립트
  • 타입변환
  • JavaScript
  • continue문
  • java.util패키지
  • 인스턴스멤버
  • java.lang패키지
  • 자바스크립트
  • Node.js
  • useEffect
  • useRef
  • join() 메서드
  • 혼자 공부하는 자바
  • While문
  • 함수선언
  • reduce
  • 기본api클래스
  • java
  • 정적멤버
  • indexOf()
  • useMemo
  • 리액트
  • template literal
  • 혼자공부하는자바
  • 백준
  • 변수선언
  • 코드스플리팅
  • switch문
  • join()
  • map
  • 템플릿리터럴
  • reverse() 메서드
  • map() 함수
  • useState
  • toFixed
  • useCallback
  • 자바
  • js
  • 노마드코더
  • 접근제한자
  • 자바스트립트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옝옹

냠

2024 제2회 기사 실기 출제 예상(1)
자격증

2024 제2회 기사 실기 출제 예상(1)

2024. 7. 18. 23:18

[1과목]

프로젝트 일정 계획

  •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이루는 소작업을 파악하고 예측된 노력을 각 소작업에 분배하여 소작업의 순서와 일정을 정하는 것
  • 프로젝트 일정 계획에 사용되는 기능 : WBS, PERT/CPM, 간트 차트등

 

PERT (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프로그램 평가 및 검토 기술)

  • PERT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전체 작업의 상호 관계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 각 작업별로 다음과 같이 단계를 나누어 종료시기를 결정한다.
    • 낙관적인 경우
    • 가능성이 있는 경우
    • 비관적인 경우
  • 개발 경험이 없어 소요 기간 예측이 어려운 프로젝트 일정 계획에 사용한다.
  • 노드와 간선으로 구성되며 원 노드에는 작업을, 간선에는 낙관치, 기대치, 비관치를 표시한다.
  • 결정 경로, 작업에 대한 경계 시간, 작업 간의 상호 관련성 등을 알 수 있다.
  • 작업 예정치 계산 공식
    • 작업 예정치 = (비관치 + 4 * 기대치 + 낙관치 ) / 6
    • 평방 편차 = [(비관치 - 낙관치 ) / 6] ^ 2

 

CPM (Critical Path Method, 임계 경로 기법) = 주 공정법

  • CPM은 프로젝트 완성에 필요한 작업을 나열하고 작업에 필요한 소요 기간을 예측하는데 사용하는 기법
  • 모든 자원 제약사항을 배제한 상태로 프로젝트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노드와 노드 간을 연결을 통해 공정을 계산하기 위한 액티비티 표기법
  • 구성된 네트워크로 노드는 작업을, 간선은 작업 사이의 전후 의존 관계를 나타낸다.
  • 원형 노드는 각각의 작업을 의미하며, 작업 이름과 소요 기간을 표시한다.
  • 박스 노드는 이정표를 의미하며, 이정표 이름과 예상 완료 시간을 표시한다.
  • 간선을 나타내는 화살표의 흐름에 따라 각 작업이 진행되며, 전 작업이 완료 되어야 다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간트 차트

  • 간트차트는 프로젝트의 각 작업들이 언제 시작하고 언제 종료되는지에 대한 작업 일정을 막대 도표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프로젝트 일정표이다
  • 시간선(Time-Line) 차트라고도 한다.
  • 중간 목표 미달성 시 그 이유와 기간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 사용자와의 문제점이나 예산의 초과 지출 등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 자원 배치와 인원 계획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 이정표, 작업 일정, 작업 기간, 산출물로 구성되어 있다.
  • 수평 막대의 길이는 각 작업(Task)의 기간을 나타낸다. 

 

UML - 관계

관계

: 사물과 사물 사이의 연관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관계 종류

  • 연관 관계
    • 2개 이상의 사물이 서로 관련되어 있는 관계이다.
    • 사물 사이를 실선으로 연결하여 표현
    • 방향성은 화살표로 표현 ->
    • 양방향 관계의 경우 화살표를 생략하고 실선으로만 연결한다.
    • 다중도를 선 위에 표기한다.
  • 집합 관계
    • 하나의 사물이 다른 사물에 포함되어 있는 관계
    • 포함하는 쪽(whole)과 포함되는 쪽(part)은 서로 독립적이다.
    • 포함되는 쪽(part)에서 포함하는 쪽(whole)으로 속이 빈 마름모를 연결하여 표현한다. (컴퓨터, 프린트)
  • 포함 관계
    • 포함 관계는 집한 관계의 특수한 형태로, 포함하는 사물의 변화가 포함되는 사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관계이다
    • 포함하는 쪽(whole)과 포함되는 쪽(part)은 서로 독립적일 수 없고 생명주기를 함께한다.
    • 포함되는 쪽(part)에서 포함하는 쪽(whole)으로 속이 채워진 마름모를 연결하여 표현한다. (문, 키)
  • 일반화 관계
    • 하나의 사물이 다른 사물에 비해 더 일반적이거나 구체적인 관계이다.
    • 보다 일반적인 개념을 상위(부모), 보다 구체적인 개념을 하위(자식)라고 부른다.
    • 구체적인(하위)인 사물에서 일반직(상위)인 사물 쪽으로 속이 빈 화살표를 연결하여 표현한다. -▷
    • (ex) 아메리카노 -▷ 커피, 에스프레소 -▷ 커피
  • 의존 관계
    • 연관 관계와 같이 사물 사이에 서로 연관은 있으나 필요에 의해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짧은 시간 동안만 연관을 유지하는 관계
    • 하나의 사물과 다른 사물이 소유 관계는 아니지만 사물의 변화가 다른 사물에도 영향을 미치는 관계
    • 영향을 주는 사물(이용자)이 영향을 받는 사물(제공자) 쪽으로 점선 화살표를 연결하여 표현한다. --->
    • (ex) 등급--->할인율
  • 실체화 관계
    • 사물이 할 수 있거나 해야 하는 기능으로, 서로를 그룹화 할 수 있는 관계이다.
    • 사물에서 기능 쪽으로 속이 빈 점선 화살표를 연결하여 표현한다. ---▷
    • (ex) 비행기 ---▷ 날 수 있다. , 새 ---▷ 날 수 있다.

 

[2과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 관계형 데이터 모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2차원적인 테이블을 이용해서 데이터 상호 관계를 정의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 개체와 관계를 모두 릴레이션이라는 테이블로 표현하기 때문에 개체를  표현하는 개체 릴레이션과 관계를  표현하는 관계 릴레이션이 존재한다.
  • 장점 : 간결하고 보기 편리하며, 다른 데이터베이스로의 변환이 용이하다.
  • 단점 : 성능이 다소 떨어진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릴레이션 구조

  • 구조를 나타내는 릴레이션 스키마와 실제 값들인 릴레이션 인스턴스로 구성된다.

튜플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
  • 속성의 모임으로 구성
  • 파일 구조에서 레코드와 같은 의미이다.
  • 튜플의 수를 카디널리티 또는 기수, 대응수라고 한다.

 

속성

  •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 파일 구조상의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
  • 속성은 개체의 특성을 기술한다.
  • 속성의 수를 디그리(degree) 또는 차수라고 한다.

도메인

  •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값들의 집합
  • 도메인은 실제 애트리뷰트 값이 나타날 때 그 값의 합법 여부를 시스템이 검사하는데에도 이용된다.

 

릴레이션의 특징

  • 한 릴레이션에는 똑같은 튜플이 포함될 수 없으므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들은 모두 상이하다.
  •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 튜플들의 삽입, 삭제 등의 작업으로  인해 릴레이션은 시간에 따라 변한다.
  • 릴레이션 스키마를 구성하는 속성들 간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 속성의 유일한 식별을 위해 속성의 명칭은 유일해야하지만, 속성을 구성하는 값은 동일한 값이 있을 수 있다.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속성들의 부분집합을 키로 설정한다.
  • 속성의 값은 논리적으로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값만을 저장한다.

 

관계형 데이터 모델

  • 2차원적인 테이블을 이용해서 데이터 상호 관계를 정의하는 DB구조를 말한다.
  •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이다.
  • 파일 구조처럼 구성한 테이블들을 하나의 DB로 묶어서 테이블 내에 있는 속성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거나 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이용한다.
  • 기본키와 이를 참조하는 외래키로 데이터 간의 관계를 표현한다.
  • 계층 모델과 망 모델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시킨 모델
  • 관계형 모델의 대표적인 언어는 SQL이다.
  • 1:1, 1:N, N:M 관계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제2회 기사 실기 출제 예상(2)  (3) 2024.07.26
[정보처리기사]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1)  (2) 2024.07.15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 오답 정리  (1) 2023.03.11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4 제2회 기사 실기 출제 예상(2)
    • [정보처리기사]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1)
    •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 오답 정리
    옝옹
    옝옹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