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JS] Math 객체

    Math 수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상수와 함수를 위한 속성과 메소드를 가진 내장 객체 함수 객체가 아님 Number 자료형만 지원하며 BigInt와는 사용 불가능 생성자가 존재하지 않아서 따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Math 객체의 모든 method나 property를 바로 사용 가능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Math 메소드] Math.min(x, y, z...) 가장 작은 값을 반환 Math.max(x, y, z...) 가장 큰 값 반환 Math.random()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은 무작위 숫자 반환 Math.round(x) 소수점 첫번째 자리에서 반올림 후 반환 Math.floor(x) 인수와 같거나 작은 수 중에서 가장 큰 정수 반환 Math.ceil(x) 인수와 같거나 큰 수 ..

    [JS] Number vs parseInt

    Q. 알고리즘 문제를 풀며 문자열을 숫자로 바꿀 때 Number을 사용했는데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보며 parseInt도 많이 사용됨을 알았다. 그리고 이 둘의 차이가 궁금했다. Number(str) Number 메서드는 문자열을 인자로 받으면 해당 문자열을 숫자로 바꿔줌 const number = Number("12345"); // 12345 문자열이 숫자가 아닌 경우 num에는 NaN이 저장됨 const price = Number('1000원'); // NaN 소수점은 모두 표시되며, 숫자형으로 바뀜 const num = Number('12.345'); // 12.345 parseInt(str) Number(str)와 동일하게 문자열을 인자로 받으면 해당 문자열을 숫자로 바꿔줌 const number..

    [JS] const vs let vs var

    변수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변수 선언 방식 1. var 변수 선언 방식에 있어서 큰 단점을 가지고 있음 var name = 'yeeun' console.log(name) // yeeun var name = 'javascript' console.log(name) // javascript 변수를 한 번 더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에러가 나오지 않고 각기 다른 값이 출력됨 코드량이 많아진다면 어디에서 어떻게 사용됐는지 파악 어려움 값이 바뀔 가능성 높음 2. let let name = 'yeeun' console.log(name) // yeeun let name = 'javascript' console.log(name) // Uncaught..

    [JS]백준에서 node.js 입출력 받기

    fs 모듈을 이용 1) 한 줄로 입력을 받을 때 let fs = require('fs');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 '); 2) 여러 줄로 입력을 받을 때 let fs = require('fs');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 vscode에서 테스트용 1) vscode 터미널에 'npm install fs'로 파일시스템을 설치 2) 문제를 풀 때마다 예제.txt에다가 예제를 복사한 후 실행해보려고 예제.txt를 만든다 3) 아래와 같이 readFileSync의 경로를 예제.txt의 위치로 수정 let input = require(..

    [JS] match()함수

    match() 함수 특정 텍스트 안에 검색할 단어, 찾고 싶은 단어가 있는 경우 해당 텍스트가 문구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 인자에 포함된 문자를 찾으면 이를 반환함. 해당 문자열.match('찾을 단어') # match() 함수 예제소스 var str = 'red is impressive.' str.match('red'); // red가 있으므로 red를 출력함 # 정규표현식을 사용한 match() 함수 예제 var test = 'love you. love me. love everything!' var regExp = /love/gi; test2 = test.match(regExp); g : 발생할 모든 pattern에 대한 전역 검색 i : 대/소문자 구분 안함 ['love', 'love',..